본문 바로가기

승률보장, 초심자를 위한 정글 꿀챔 정리 (+챔피언 추천, 스킬 설명, 공략 등)

by Jun the guest 2025. 2. 22.
728x90
728x90

 

롤린이를 위한 승률보장 정글꿀챔 썸네일

 

 

초심자를 위한 승률 보장 정글 챔피언

 

© League of Legends, Riot games
© League of Legends, Riot games

 

  2025년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새 시즌 액트 1 '녹서스로의 초대'가 도래됨에 따라 이제는 전보다 더 다양해진 '오브젝트를 장악하는 능력' 곧, '정글 포지션의 기량', '팀원 간의 화합'이 더욱더 승리를 향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롤에서 정글러의 역할은 축구로 따지면 쉽게 말해, '미드필더(Midfielder)'의 역할을 자처하는 만큼 팀 내 중추적인 포지션이다. 물론, 게임 초반부 각 라이너들이 자신들의 기량으로 라인전에서 우위를 점하는 정도에 따라, 정글러의 동선과 오브젝트 장악력 또한 좌우될 수 있다.

 

© Chris Abney, Unsplash
© Chris Abney, Unsplash

 

  우리가 매판마다 스쳐가며 느낀 대로 정글러는 고독한 포지션이 맞다. 잘하면 잘하는 대로 킬을 독식해서 싫은 소리를 듣기도 하고, 못하면 못하는 대로 갱승이나 오브젝트를 적에게 뺏겨 눈치가 보이기도 한다.

 

  정확히는 '3D' 포지션이라 보는 게 맞겠다. 3D는 '더럽고(Dirty)', '어렵고(Difficult)', '위험한(Dangerous)' 분야를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모두가 기피하는 길인 만큼 전문적이고,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할 수밖에 없는 포지션이라는 덴 대부분 공감할 것이다.

 

  초보자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신의 체력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행동부터 옮기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선의로 갱킹에 나서다 의도치 않은 갱승으로 뭇매를 맞는 경우도 허다하다. 뿐만 아니라, 시야장악을 위한 바위게 경쟁을 하다 얼토당토않게 손해를 보기도 한다.

 

© Image by freepik
© Image by freepik

 

  그러한 점에서 이 글을 읽고 있을 초보 정글러 여러분들에게 박수 쳐주고 싶다. 사실, 이 게임을 접한 지 얼마 안 된 초보자로서 정글러를 선택하는 일은 때때로 부담스러운 경험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플레이해 볼 만한, 직관적인 스킬을 가진 정글 챔피언들을 소개하고, 각 챔피언의 특성과 차별점, 그리고 그 상성들에 대해서 다채롭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

 

  챔피언 유형은 생존을 위해 체력이 뒷받침되는 '탱커(Tank)'와 '딜탱(Bruiser)' 위주로 구성해 보았다.

 

 

 탱커 추천

 

 

  팀 내 탱커가 있으면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뭘까? 단연, '든든함'일 것이다. 탱커 포지션은 튼튼한 체력을 기반으로 앞라인에 서서 아군을 보호하는 수호자 역할이자, 강력한 '군중제어능력(CC, Crowd Control)'을 통해 한타를 여는 선봉장을 가리킨다.

 

 

 람머스: 빠른 정글링과 기동성

 

© 두리안 수호자 람머스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 두리안 수호자 람머스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람머스는 강력한 탱킹 능력과 CC기로 무장한 챔피언이다. 특히 적의 공격을 반사하는 능력을 통해 팀 파이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보자에게 비교적 다루기 쉬운 챔피언으로 추천된다. 1 레벨 W, 2 레벨 Q, 3 레벨 E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Q > E > W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가시 박힌 껍질: 기본 공격 시 방어력에 비례해 적에게 추가 마법 피해

  • Q - 대회전: 공 모양으로 몸을 말아 일정시간 동안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적과 부딪힐 경우 상대를 뒤로 밀어내며, 마법 피해를 입히고 주변의 적에게 둔화효과 적용

  • W - 몸 말아 웅크리기: 일정시간 동안 방어 태세에 돌입해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스킬이 활성화된 동안 가시 박힌 껍질의 피해량이 증가하고, 본인을 공격한 적에게 피해를 줌

  • E - 광란의 도발: 일정시간 동안 적 챔피언이나 정글 몬스터를 도발시키고 공격속도 증가

  • R - 지진 폭격: 공중으로 뛰어오른 후 지점에 착지하며 마법피해와 둔화효과 적용, 중앙에 있는 적들은 뛰어오른 거리에 따라 추가 피해를 입으며, 대회전 중 사용했다면 중앙에 있는 적들은 에어본 효과 적용, 시전 후 일정시간 동안 여진이 발생하며 마법피해와 둔화효과가 중첩, 스킬의 범위는 람머스의 이동속도에 따라 증가

 

강점: W 활성화 시 기본 공격이 지속 시간을 늘려주며, P 스킬로 추가 피해를 입히고, E의 공격 속도 증가 효과는 다른 스킬들과 함께 사용하면 지속적으로 강화된다. R은 포탑에게 두 배의 피해를 입히며, 탈출기로도 유용하다.

 

약점: QW를 사용하고 나면 전투에서 영향력이 크게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기본 공격에 의존하지 않는 챔피언이나 기민한 챔피언을 상대할 때는 취약할 수 있으며, R만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적으므로 Q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정글 람머스 하드 카운터 TOP5: 다이애나, 아무무, 에코, 볼리베어, 누누와 윌럼프

 

 

 세주아니: 강력한 CC기로 똘똘 뭉친 선봉장

 

© 포로를 탄 세주아니 (입수방법: 975RP), League of Legends
© 포로를 탄 세주아니 (입수방법: 975RP), League of Legends

 

  세주아니는 탱커형 정글러로, QR로 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레벨 E, 2 레벨 W, 3 레벨 Q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W > Q > E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혹한의 분노: 일정시간 동안 피해를 입지 않으면 서리 갑옷이 생겨 추가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 증가 및 둔화 효과에 면역, 서리 갑옷은 피해를 입은 후에도 잠깐 동안 유지되며 기절한 적을 공격하면 막대한 마법 피해를 입힘

  • Q - 혹한의 맹습: 돌진기로 적들에게 마법 피해를 입힘과 동시에 에어본 적용, 적 챔피언에게 충돌 시 돌진 멈춤

  • W - 혹한의 서릿발: 철퇴를 휘둘러 물리 피해를 입히고 미니언과 정글 몬스터를 넉백 시킨다. 곧이어 한 번 더 철퇴를 휘둘러 물리 피해를 입히며 잠깐 동안 둔화 적용

  • E - 만년 서리: 사용 시 세주아니가 중첩이 4회 쌓인 대상에게 마법 피해를 입히고 일정시간 동안 기절 적용(기본 지속 효과: 근처 아군 근접 챔피언이 적 챔피언 또는 정글 몬스터를 기본 공격 시 중첩 적용)

  • R - 빙하 감옥: 얼음 정수 올가미를 던져 일정시간 동안 처음 맞힌 적 챔피언의 모습을 드러내고 마법 피해와 함께 스턴 적용, 올가미가 사거리의 25% 이상 날아가 적중할 경우 더 오래 모습을 드러내고 스턴 적용, 또한 주변 적들을 80% 둔화 및 마법 피해를 입히는 얼음 폭풍 적용

 

강점: 세주아니는 군중 제어 능력이 뛰어난 챔피언으로, 적을 기절시키거나 둔화시킬 수 있는 스킬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P는 세주아니의 기본 공격이나 스킬로 기절한 적에게 추가 피해를 입히며, P가 발동되면 둔화 면역과 방어력, 마법 저항력이 증가한다.

 

  E는 근처의 아군이 기본 공격을 통해 발동할 수 있어 갱킹과 에픽 몬스터 처치에 유리하다. R은 얼음 폭풍을 생성해 뭉쳐있는 적에게 피해를 주고 둔화시켜 강력한 이니시에이팅 능력을 발휘한다. 보다 신중함을 요하기 때문에 R의 '스마트 키' 설정을 풀어주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약점: 세주아니는 갱킹과 한타에서 강력한 역할을 하며, 아군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초반이 강력한 상대 정글러에게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QR을 사용한 후에는 한타에서 빠져나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정글 세주아니 하드 카운터 TOP5: 그웬, 릴리아 ,자르반 4세, 케인, 자크

 

 

 아무무: 적들의 발을 묶는 마크맨

 

© 달콤 달링 아무무 ⁠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 달콤 달링 아무무 ⁠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아무무는 강력한 CC기와 높은 생존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초보자로서는 아주 유용한 챔피언이 될 수 있다. 1 레벨 W, 2 레벨 E, 3 레벨 Q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E > Q > W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저주의 손길: 기본 공격을 받은 대상이 '저주'에 걸려 마법 피해를 입을 때마다 추가로 고정 피해 입힘

  • Q - 붕대 던지기: 붕대를 던져 처음 적중한 적에게 붕대를 당겨 다가간 뒤 기절 및 마법 피해. 총 2회 충전가능

  • W - 절망: 활성화 시 매초 근처 적에게 최대 체력에 비례해 마법 피해를 입히고 저주를 초기화한다.

  • E - 짜증내기: 사용 시 주변 적에게 마법 피해 (기본 지속효과: 적에게 받는 물리 피해 감소, 기본 공격에 맞을 시 스킬 쿨 감소)

  • R - 슬픈 미라의 저주: 광역 스턴효과 및 저주와 마법 피해

 

강점: 아무무의 Q은 맞은 적이 사거리 2000 안에 있다면, 어디로 이동하든 따라가며, E은 기본 공격에 맞을 때마다 재사용 대기시간이 0.5초씩 줄어든다.

 

  이로 인해 팀 파이팅 능력이 뛰어나며, W로 적의 체력을 천천히 감소시킬 수 있는데 특히 탱커 상대에 유리하다. 또한, E는 물리 피해 감소 효과를 가지고 있어 '물리 피해 기반 챔피언(ADC, Attack Damage Champion)'의 카운터 역할로 좋다.

 

약점: 마나 소모가 빠르며, 게임 초반에 다소 약한 편이다. Q 2회를 다 소진하면 전투에서 빠져나가기 어려워지므로, 미숙하다면 Q만 '스마트 키' 설정을 해제하고 신중하게 써야 한다.

 

⚠️ 정글 아무무 하드 카운터 TOP5: 다이애나, 자르반 4세, 릴리아, 신 짜오, 그웬

 

 

 자크: 끈질긴 생존능력과 진형 붕괴의 주역

 

© 전투 기계 자크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 전투 기계 자크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자크는 뛰어난 탱킹 능력과 강력한 CC기를 지닌 정글 챔피언으로, 적의 핵심 딜러를 차단하며 전투의 흐름을 좌우할 수 있는 존재다. 1 레벨 W, 2 레벨 Q, 3 레벨 E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E > W > Q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세포 분열: 스킬로 적을 맞힐 때마다 몸에서 조각이 떨어져 나간다. 이 조각들을 다시 흡수할 시 체력이 회복되며, 치명상을 입으면 4조각으로 갈라졌다가 다시 합쳐지려고 모인다. 몸 조각 중 하나라도 생존할 경우, 살아남은 조각의 체력에 비례한 체력을 가지고 부활한다. 각각의 조각은 자크의 최대 체력,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의 일부를 보유하며, 이 스킬 쿨타임은 5분이다.

  • Q - 탄성주먹: 팔을 뻗어 처음 맞힌 적을 붙잡고 마법 피해를 입히며 잠깐 동안 둔화시킨다. 자크의 다음 기본 공격은 사거리가 증가하며 동일한 피해를 입히고 둔화시킨다. 자크가 다른 적에게 기본 공격을 가하면 둘을 공중으로 띄워 올려 서로에게 던진다. 충돌 시 해당 적과 주변 적은 마법 피해를 입으며 잠깐 동안 둔화된다.

  • W - 불안정 물질: 자크의 몸이 터지면서 주위에 있는 모든 적에게 마법 피해를 입힌다. 조각을 흡수할 때마다 이 스킬의 쿨타임이 1초 감소된다.

  • E - 새총 발사: 충전 시 자크가 자신의 몸을 팽팽하게 당겨 돌진할 준비에 들어간다. 발사하면 자크가 자신의 몸을 날려 착지하는 곳에 있는 적들을 충전 시간에 비례해 에어본 상태로 만들며 마법 피해를 입힌다. 적 챔피언을 하나 맞힐 때마다 조각이 하나씩 생성된다.

  • R - 바운스!: 자크가 튀어 오른다. 처음 맞은 적은 뒤로 밀리며 마법 피해를 입으며 이후에는 맞을 때마다 마법 피해를 입고 둔화한다. 자크는 이동 속도가 점점 증가하며 튀어 오르는 동안 불안정 물질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강점: 자크는 조각을 흡수하여 잃은 체력에 비례해 체력을 회복하고, 적 챔피언이 조각에 가까이 가면 조각이 파괴된다. Q는 연결된 적에 대한 절대 시야를 제공하며, 자크가 조각을 흡수할 때마다 W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초씩 감소하게 된다. R의 레벨이 오르게 되면, P의 조각을 흡수했을 때 더 많은 체력을 회복하게 된다.

 

  강력한 CC를 바탕으로 갱킹과 한타 교전에 특화된 챔피언이다. 적의 시야가 가려진 부시에서 긴 사거리의 E를 활용해 갱킹에 나서거나 한타를 여는 것이 일반적이며 Q+평타 혹은, R+W를 연계하면 강력한 CC기 콤보가 가능하다.

 

약점: 초반 우위를 점하지 못하면 후반에 힘든 경향이 있다. E는 예측하기 쉬워 피하기 가능하며, 사용한 후 교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대가 '고통스러운 상처'효과가 있는 아이템을 사용하면 자크의 치유 효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정글 자크 하드 카운터 TOP5: 그웬, 그라가스, 벨베스, 헤카림, 자르반 4세

 

 

 딜탱 추천

 

 

  영어로는 '브루저(Bruiser)' 혹은, '파이터(Fighter)'라고도 부른다. 딜탱은 유저들이 편의상 부르는 용어로 탱커 겸 딜러 역할을 모두 하는 하이브리드 포지션을 의미한다. 초반부 '무력행사'의 존재로 인해 정글러의 입지가 무척 중요해졌으며, 그에 따라 브루저와 같은 교전이 강한 정글 챔피언들이 현재 고티어에 머물고 있는 시점이다.

 

 

 다이애나: 암살도, 딜탱도 OK 효자 챔피언

 

© 겨울의 축복 다이애나 (입수방법: 1820RP), League of Legends
© 겨울의 축복 다이애나 (입수방법: 1820RP), League of Legends

 

  보호막, CC기, 딜링까지 우수한 다이애나는 마법 피해를 집중적으로 입히는 강력한 정글 챔피언으로, 빠른 스노볼링을 통해 전투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팀의 조합과 게임의 판도에 따라 암살자로 갈지, 딜탱으로 갈지 유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1 레벨 Q, 2 레벨 W, 3 레벨 E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Q > W > E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서늘한 달빛 검: 3번째 공격마다 근처 적들을 베어 추가 마법 피해를 입힌다. 스킬 사용 후 5초 동안 공격 속도 증가

  • Q - 초승달 검기: 달 에너지를 휘어지게 발사하여 마법 피해를 입히고 잠깐 동안 달빛으로 표식을 남긴다.

  • W - 은빛 가호: 일정 시간 동안 주위를 돌면서 닿으면 폭발하여 마법 피해를 입히는 구체를 세 개 생성한다. 같은 시간 동안 다이애나가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도 얻으며, 마지막 구체가 폭발할 때 피해를 흡수하는 보호막을 추가로 얻고 지속시간이 초기화된다.

  • E - 월광 쇄도: 적에게 돌진하며 마법 피해를 입힌다. 대상이 달빛 효과를 받고 있으면 이 스킬의 쿨타임이 초기화된다.

  • R - 달빛 낙하: 주위 적들을 드러내 끌어당긴 후 둔화시킨다. 최소 한 명의 적 챔피언에게 적중하면 마법 피해+추가로 끌어당기는 챔피언 하나당 추가 마법 피해를 입힌다.

 

강점: 지속적인 체력 교환에 강하며, 기동성이 떨어지는 챔피언들을 상대할 때 유리하다. QE를 통한 레벨 2, 3 올인 콤보가 강력하며 레벨 6 때 W를 킨 상태에서 Q를 날림과 동시에 E로 진입, R 콤보를 활용하면 체력이 가득 찬 상대도 처치가 가능하다. 적절한 R 타이밍은 한타 교전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

 

약점: 만약 E를 사용한 뒤 쿨타임이 초기화되지 않을 경우, 다이애나는 한타 교전에서 벗어날 수단이 사라진다.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유가 된다면 '존야의 모래시계'를 구매하는 것도 좋다. 교전을 하거나 설계를 하기 위해 E의 기동성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편이다. R은 적 챔피언을 끌어당기지 못할 경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정글 다이애나 하드 카운터 TOP5: 킨드레드, 우디르, 마스터 이, 탈론, 케인

 

 

 볼리베어: 엄청난 생존 능력과 다이브 특화

 

© 천 번 찔린 곰 (입수방법: 975RP), League of Legends
© 천 번 찔린 곰 (입수방법: 975RP), League of Legends

 

  볼리베어는 탁월한 물리 피해와 기동성을 바탕으로 적을 압도하는 정글 챔피언이다. 강력한 딜링과 탱킹 능력을 동시에 제공하며, 특히 적의 핵심 딜러를 추적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1 레벨 E, 2 레벨 Q, 3 레벨 W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W > Q > E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무자비한 폭풍: 기본 공격 혹은 스킬을 사용하면 공격 속도가 증가하며 최대 중첩 상태에서 공격 시 주변 적들에게 추가 마법 피해 적용

  • Q - 번개 강타: 볼리베어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며 적 챔피언을 향해 이동 시 이동 속도 증가량이 두 배로 증가. 스킬이 활성화된 동안 다음 기본 공격 시 상대에게 물리 피해를 입히며 스턴 적용

  • W - 광란의 상처: 적을 공격해 물리 피해를 입히고 일정 시간 동안 표식을 남긴다. 표식이 남은 대상에게 이 스킬을 사용하면 피해량이 증가하며 볼리베어가 잃은 체력에 비례해 일정 체력 회복

  • E - 천공 분열: 뇌운을 소환해 번개를 내리쳐 대상 최대 체력에 비례해 마법 피해를 입히고 둔화 적용, 볼리베어가 폭발 지역 안에 있으면 최대 체력에 비례한 보호막을 얻는다.

  • R - 폭풍을 부르는 자: 볼리베어가 변신 후 지정한 위치로 도약한다. 일정 시간 동안 체력과 공격 사거리가 증가한다. 착지 시 땅에 균열이 생겨 근처 적 포탑의 공격이 비활성화되며 물리피해를 입는다. 근처 적들은 둔화되었다가 1초에 걸쳐 원래대로 돌아오며 볼리베어 바로 아래에 있는 적들에게 추가 물리 피해 적용

 

강점: 지속적인 체력 교환과 교전 및 포탑 다이빙에 특화되어 있다. Q의 기절 시간은 E, R을 맞힐 수 있을 만큼 긴 편이다. E의 시전 애니메이션은 다른 기술과 함께 사용하여 숨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약점: 기동성이 좋거나 사거리가 긴 챔피언을 상대로 쉽게 카이팅 당할 수 있다. 게임을 유리하게 굳히지 않을 경우 영향력이 점점 떨어지며 R의 시전 동작은 느리기 때문에 보고 피하기 쉬운 편에 속한다. 성공적인 체력 교환과 교전을 하려면 최소 두 번의 W를 사용해야 한다.

 

⚠️ 정글 볼리베어 하드 카운터 TOP5: 티모, 헤카림, 벨베스, 렝가, 샤코

 

 

 오공: 다재다능한 진형 붕괴 능력자

 

© 찬란한 오공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 찬란한 오공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오공은 뛰어난 기동성과 강력한 돌진 능력을 바탕으로, 빠른 전투 전개와 유연한 전술을 가능케 한다. 오공은 기습적인 공격과 후속 처치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궁극기를 이용한 한타 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1 레벨 E, 2 레벨 Q, 3 레벨 W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Q > E > W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바위 피부: 챔피언 및 몬스터와 싸우는 동안 방어력이 점점 높아지며 최대 체력 재생 효과를 얻는다.

  • Q - 파쇄격: 오공과 분신이 다음 공격 시 사거리가 증가하고 추가 물리 피해를 입히며 대상의 방어력이 감소한다. 오공이나 오공의 분신이 기본 공격 및 스킬로 적을 공격할 때마다 이 스킬의 쿨타임이 감소된다.

  • W - 분신 전사: 오공이 돌격하며 잠시 투명 상태가 되고 움직이지 않는 분신을 생성한다. 분신은 오공의 Q, R를 모방하며 오공이 최근에 피해를 입힌 근처 적을 공격해 일정량의 피해를 입힌다.

  • E - 근두운 급습: 적에게 돌격하며 자신의 분신을 만들어 근처의 적들에게 돌격시킨다. 적중당한 적은 각각 마법피해를 입으며 오공과 분신은 잠시 동안 공격 속도가 증가된다.

  • R - 회전격: 오공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며 일정 시간 동안 여의봉을 휘두른다. 여의봉에 맞은 근처 적들은 에어본 효과가 적용되며 물리 피해를 입는다.

 

강점: 오공의 P는 공격력 기반 챔피언들을 상대할 때 유리하다. 적절한 W는 오공이 두 번의 R로 한타 교전을 승리로 이끌도록 돕는다. 또한 W를 사용한 척해서 적들을 속인 뒤, 제대로 W를 사용해 탈출하거나 싸움을 재개할 수 있다. W를 잘 활용하면 언덕이나 벽을 통과할 수 있다.

 

약점: 오공은 갱이나 한타, 교전 시 W에 의존하는 편이다. W의 쿨타임은 1 레벨 기준 20초로 꽤 긴 편에 속한다. 때문에 쿨타임 중에 제압당하기 쉽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교전 시 R이 상대로 인해 강제로 취소되면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

 

⚠️ 정글 오공의 하드 카운터 TOP5: 우디르, 브라이어, 니달리, 카서스, 릴리아

 

 

 잭스: 든든한 대기만성형 슬로우스타터

 

© 신의 지팡이 잭스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 신의 지팡이 잭스 (입수방법: 1350RP), League of Legends

 

  잭스는 탁월한 스플릿 푸시 능력과 뛰어난 전투 능력을 지닌 챔피언으로, 후반에 갈수록 그 진가를 발휘한다. 잭스는 강력한 딜링 능력과 함께 스킬 세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1 레벨 E, 2 레벨 W, 3 레벨 Q를 찍고 스킬 마스터리 순서는 W > E > Q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각 스킬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 - 가차없는 맹공: 연속으로 기본 공격을 가할 시 공격 속도 상승

  • Q - 도약 공격: 아군 또는 적 유닛, 와드를 향해 도약. 적인 경우 물리 피해 적용

  • W - 무기 강화: 무기에 힘을 모아 다음 기본 공격이나 도약 공격 시 추가 마법 피해 적용

  • E - 반격: 잭스가 일정 시간 동안 방어 태세에 들어가 기본 공격을 회피하고, 광역 스킬로부터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방어 태세가 끝나거나 재사용할 시 근처 적들에게 마법 피해를 입히고 기절시킨다.

  • R - 무기의 달인: (기본 지속 효과: 세 번째 공격을 가할 때마다 추가 마법 피해 적용) 사용 시 잭스가 가로등을 내리쳐 주변 적에게 마법 피해를 입힌다. 챔피언을 맞히면 방어력, 마법 저항력이 증가하며 다음에 맞힌 챔피언 하나당 방어력과 마법 저항력이 추가로 증가하게 된다. 이때 세 번째가 아닌 두 번째 기본 공격마다 추가로 마법 피해 적용

 

강점: 잭스는 포탑들을 매우 빠르게 철거하는 편이다. 엄청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스플릿 구간에서 대부분의 적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Q는 아군 미니언, 챔피언, 그리고 와드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진입할 때는 물론 도주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E는 회피한 공격 당 추가 피해량을 20%만큼 얻으며 추가 피해량은 100%까지도 증가할 수 있다.

 

약점: 골드량과 레벨 우위에 매우 의존적인 편이다. E의 재사용 대기시간은 1 레벨 기준 14초로 꽤 긴 편에 속한다. 쿨타임 중에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스플릿 구간에 비해 한타 교전에서의 영향력은 떨어지는 편이다.

 

⚠️ 정글 잭스의 하드 카운터 TOP5: 피들스틱, 누누와 윌럼프, 이블린, 그레이브즈, 샤코

 

 

 마치며, 

 

 

  정글러는 팀의 승패에 직결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초보자에게는 그만큼 도전적이고 어려운 포지션이지만, 기본적인 이해와 연습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역할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만한 챔피언들을 선택하고, 각 챔피언의 특성과 전략에 맞게 플레이하는 것이다. 일단 탱커와 딜탱 중심으로 시작하여, 체력 관리와 생존력을 우선시하는 플레이를 통해 점차 실력을 쌓다 보면 추후 팀의 승리를 이끄는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728x90
300x250

home top bottom
} home top bott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