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이란 다양한 함축적인 것들을 지니고 있다. 우리가 글을 쓸 때,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을 읽는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식 또한 중요하다.
오늘은 블로그 작성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호와 형식을 상세하게 다루어보고자 한다.
블로그 작성 시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호와 형식
블로그 작성에서 기호와 형식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정확하게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더 명확하고 깔끔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쉼표, 숫자 표현, 괄호, 작품 인용, 들여쓰기 등은 정확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규칙들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가독성을 높이고, 내용을 명확히 받아들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면 지금부터 예시와 함께 알아보자.
쉼표(,): 구체적인 사용법
쉼표는 문장을 명료하고 읽기 쉽게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기호다. 다음은 쉼표 사용법의 주요 사례다.
- 문장 내 나열: 여러 항목을 나열할 때 쉼표로 구분하며, 마지막 항목 앞에는 '그리고/및'을 사용
예)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다면, 에너지, 주파수, 그리고 진동의 관점에서 생각하라. - 긴 문장에서의 호흡 조절: 문장이 길어질 때 쉼표로 문장을 끊어 읽기 쉽게 구성
예)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우물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야. - 부사구나 접속어 뒤에 쉼표 사용
예) 만약 당신이 지옥길을 걷고 있다면, 계속해서 전진하라.
숫자와 연도 표현
- 숫자 구분: 4자리 이상의 숫자는 쉼표로 단위를 구분
예) 백만은 '1,000,000'이지만 가독성을 위해 '1백만'이라고 표현한다. - 연도: 쉼표 없이 작성
예) 2025년, 2050년. - 범위 표기: 숫자나 연도 범위 등의 표기에는 하이픈(-) 사용
예) 2025-2025, 5-7kg. - 소수점과 퍼센트: 소수점은 점(.)으로 표기, 퍼센트는 숫자 뒤에 기호(%) 표기
예) 75.3%, 3.14
각종 괄호 사용법
- 각종 괄호 사용법: 보통 일반적인 블로그 작성 시에는 소괄호가 자주 쓰이는 편
소괄호 (): 부연 설명, 추가 정보, 약어의 의미 등을 전달할 때 사용
예) 'ETF(Exchange-traded fund, 상장지수 펀드)',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중괄호 {}: 수학, 과학 등의 특정 형식에서 사용
예) 집합 {a, b, c}
대괄호 []: 인용문 수정, 설명 추가, 배열 표시 등 사용
예) 배열: [1, 2, 3, 4] - 문학, 연구, 예술 작품 인용 시
책 제목, 신문 이름: 겹낫표(『』), 겹화살괄호(⟪⟫), 큰따옴표(" ")또는 이탤릭체로 강조
예) 『The Great Gatsby』, ⟪위대한 개츠비⟫, "위대한 개츠비" 다양하게 사용
소제목, 예술 작품의 제목, 상호, 법률, 규정: 홑낫표(「」), 홑화살괄호(⟨⟩), 작은따옴표(' ')
예) 「별이 빛나는 밤」, ⟨별이 빛나는 밤⟩, '별이 빛나는 밤' - 인용과 강조를 위한 기호 사용 시
예) 독일의 철학자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말했다. "신은 죽었다" - 인용부호 (" ")와 작은따옴표 (' '): 직접 인용 시 큰따옴표, 인용 안의 인용은 작은따옴표 사용
예) 불후의 명곡 ⟨Let it be⟩에는 이런 가사가 있다. "내가 힘들 때 우리 어머니는 내게 지혜의 말씀을 하시며 다가오셨지 '순리에 맡겨라'라고"
들여쓰기
블로그 작성에서 들여쓰기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돕는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다. 적절한 들여쓰기를 활용하면 글의 구조가 명확해지며,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거나 흐름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블로그에서 들여쓰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유용한 팁을 아래에 정리하였다.
- 문단 시작 시 들여쓰기: 문단의 첫 줄 을 들여쓰는 것은 일반적인 글쓰기 규칙이다. 이는 글이 구조적으로 구분되어 보이고,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문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
첫 번째 문단에서는 주로 블로그의 주제에 대해 소개한다. 이 문단을 통해 글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 문단에서는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들여쓰기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가 시작됨을 명확히 할 수 있다. - 들여쓰기 대신 줄 간격 활용: 블로그나 웹에서 작성하는 글은 일반적으로 들여쓰기 대신 줄 간격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웹에서 글을 읽는 독자들은 긴 문장이 연속으로 이어지는 것보다는 각 문단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
- 목차나 목록 사용 시 활용: 목차나 목록을 사용할 때 들여쓰기를 활용하여 항목을 구분하고, 계층적인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정보가 많은 글에서 독자가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예)
1. 내가 좋아하는 사과
- 풋사과
- 홍옥
2. 내가 좋아하는 복숭아
- 천도복숭아
마치며,
블로그 글을 작성할 때는 항상 내용의 흐름을 고려하고 기호나 괄호, 들여쓰기 등을 활용해 글을 시각적으로 편리하게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구성된 글은 내용 전달이 한층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을 공략할 수 있다.
'⌨️ IT > Blog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독자를 사로잡는 '파인 다이닝' 글쓰기 전략 (+가독성, 작문법 등) (13) | 2025.03.23 |
---|---|
블로그 롱-런을 위한 지침SEO! (12) | 2025.01.31 |
[블로그] 티스토리 일일 조회수 100명 달성 (10) | 2025.01.21 |
[티스토리] 블로그 꿀팁전수 4 - 프로그레스 바 만들기 (57) | 2024.11.29 |
[티스토리] 블로그 꿀팁전수 3 - 나만의 서식 만들기 (5) | 2024.11.29 |